티스토리 뷰
1.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1-1 Hyper Text
: 일반적인 텍스트의 순차적 접근법을 뛰어넘는 비순차적 접근법.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페이지 내의 다른 데이터로 이동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1-2 Markup Language
: 웹 브라우저에게 내 컨텐츠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명령하는 언어. 웹 문서 내의 데이터들을 구조적으로 표시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
> 웹사이트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2. CSS(Cascading Style Sheets)
> 태그들에 디자인을 입혀주는 것.
3. Backend
>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영역인 데이터베이스나 서버를 관리하는 것.
4. Frontend
> 웹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경험하는 디자인이나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는 것. 또한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양식을 작성할 때, 이러한 동작도 처리함.
5. DataBase
> 데이터의 저장소.
5-1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계층형, 망형, 관계형, 객체지향형, 객체관계형 등으로 분류된다.
6.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표준 SQL을 정해서 발표.
7. 버그(Bug)
>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예기치 못한 오류나 오동작.
8. 에러(Error)
> 처리 시에 예상하지 못한 결과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9. 클라이언트
> 서버의 서비스를 받아 사용하는 장치(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9-1 서버
>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또는 서비스와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기술.
11. 예외처리
> 코드 작성자가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에러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것. 예외 처리를 하면 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종료를 방지하여 정상적인 실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2. 라이브러리(Library)
> 필요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코드의 묶음.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라이브러리(객체나 함수 등의 형태)로 만들어두면, 필요할 때마다 직접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13. 프레임워크(Framework)
> 작업의 구조가 정해져 있는 라이브러리. 단, '프레임워크가 원하는 방식'대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즉, 개발자가 직접 필요한 기능을 가져다가 호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프레임워크의 구조에 맞추어' 객체나 함수를 구현해두면 프레임워크에 의해 적절한 시점/상황에 자동으로 호출되고 실행되는 구조.
14. 컴파일(Compile)
>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과정 중 하나. 컴파일러는 전체 소스 코드를 한꺼번에 읽고 기계어로 변환한 후에 실행됨.
15. 인터프리트(Interpret)
> 해석 또는 실행을 의미.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읽은 즉시 실행하는 프로그램.
16.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표준.
'스파르타 > 강의 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객체, 얕은 복사, 깊은 복사 (0) | 2024.07.25 |
---|---|
변수와 상수 (1) | 2024.07.23 |
JQuery 연습하기 (1) (0) | 2024.07.04 |
JQuery 사용하기 - 사용법 (0) | 2024.07.04 |
자바스크립트 활용 문법(DOM) (0)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