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래 방법은 git 아이디를 만들고 원격 저장소에 파일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원격 저장소 : 로컬저장(로컬 서버, 로컬은 '내 컴퓨터' 자체를 의미한다)소 외에 위치한 저장소
1. 원격 저장소에 파일이 있고 나는 처음 파일을 받거나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통으로 받고 싶을 때 - git clone
1. 내 컴퓨터에 저장할 폴더를 만들어야 한다. 컴퓨터에 새 폴더를 만든다.
2. 터미널을 연다 (vscode 기준 좌측 상단 새 터미널)

2. 터미널에 cd 입력 후 폴더를 드래그해온다.

3. clone 할 원격 저장소 주소를 복사해온다.

4. git clone (github 주소) 를 입력한다.

5. 새 폴더에 clone 파일이 생성된다.
1. 원격 저장소에 최신 파일이 있고 최신 파일을 불러오고 싶을 때 / 내가 수정한 파일들을 올리기 전에 팀원이 올려놓은 파일 업데이트하기 - git pull (불러오기)
1. 새 터미널을 연다
2. 내 컴퓨터에 파일을 불러올 폴더 혹은 수정한 파일이 있는 로컬 저장소 폴더로 cd를 활용해서 이동한다. (터미널에 cd 입력 후 폴더 드래그)
* 처음 pull을 해서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하지 않았을 때 / fatal: not a git repository (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 .git 에러가 발생할 때 2-1을 진행한다.
2-1 . 현재 디렉토리(폴더)기준 git 저장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git init
을 입력해 주고, 원격이 없으므로 새로운 깃 리파지토리(저장소)를 만들어서 내 로컬저장소에 원격을 지정한다.
2-2 . 원격 저장소와 연결해준다.
$ git remote add origin (GitHub주소)
3. git 에 있는 파일을 불러온다. (git pull)
git pull 원격 저장소 주소

같은 파일의 줄을 수정했을 경우, merge confilc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는 3-1을 수행한다.
3-1. merge conflict 해결 방법
같은 줄에서 어떤 코드를 사용할지 선택하거나 원하는 대로 수정해 주면 된다.
2. 원격 저장소와 연결이 되어 있고 내가 수정한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기 - git push(내보내기)
1. git add - Working Directory 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staging Area로 옮긴다
그 전에 상태를 확인하고(git status)
2. 수정된 파일을 add 한다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명
3. Staging Area 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local repository에 등록한다.(변경사항 확정)
git commit -m "수정사항 메세지"
4. git push 를 통해 commit 이력을 github remote repository에 업로드합낟.
push를 통해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상태가 같아진다.
git push -u origin main
// 원격 저장소에 commit 된 파일들을 모두 업로드
'스파르타 > 팀과제, 개인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과제 - 뉴스피드 만들기 (1. 추가, 삭제 코드 구현) (3) | 2024.09.02 |
---|---|
Medal Tracker 컴포넌트 분리, 리팩토링하기 (0) | 2024.08.14 |
개인과제 - Medal Tracker 코드 분석하기 (0) | 2024.08.14 |
자바스크립트 팀 과제 : 감정구슬(1) / 기획, 와이어프레임, 계획 짜기 단계 (0) | 2024.08.07 |
좋아요 기능 구현하다가 코드 하나하나 파헤치면서 공부하기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