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제 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사항

  •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입출력 예

arr                                                                                 divisor                                                   return

[5, 9, 7, 10] 5 [5, 10]
[2, 36, 1, 3] 1 [1, 2, 3, 36]
[3,2,6] 10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서 [5, 10]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1, 2, 3, 36]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3
3, 2,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1]을 리턴합니다.

 

풀이 과정

더보기

문제를 보고 어렵지 않게 로직을 짤 수 있었다. 

//array를 for문으로 돌려서 divisor로 나눈다.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이걸 우째하노 -1을 반환한다.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if 문을 두 번 사용해본적은 없지만, for 문 밖에 if문을 놔두면 될 것 같아 해봤다. 

첫번째 코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let divisibleValue = []
   for(let i = 0; i<arr.length; i++){ 
    if (arr[i]%divisor === 0){
        divisibleValue.push(arr[i])
    }}
    
    if (divisibleValue === []){
        return -1
    }
    divisibleValue.sort((a,b) =>a-b)
    return divisibleValue;

안된다. 잘 짠 것 같은데 뭐가 문제지? 챗지피티한테 물어 보니까

1.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비교할 때, 배열의 내용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참조를 비교하기 때문에 'divisibleValue === []'는 항상 'false'를 반환한다고 한다. 이거 알고 있는데 왜 틀렸지. 올바르게 배열하려면 'divisibleValue.length === 0'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수정한 두번째 코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let divisibleValue = []
   for(let i = 0; i<arr.length; i++){ 
    if (arr[i]%divisor === 0){
        divisibleValue.push(arr[i])
    }}
    
    if (divisibleValue.length === 0){
        return -1
    }
    divisibleValue.sort((a,b) =>a-b)
    return divisibleValue;

이것도 안된다!

1. 문제의 요구사항에서는 배열이 비어있을 때 -1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1]을 반환해야 한다. 

2. 코드에서 마지막 }가 닫히지 않았다. 

 

세번째 코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let divisibleValue = []
   for(let i = 0; i<arr.length; i++){ 
    if (arr[i]%divisor === 0){
        divisibleValue.push(arr[i])
    }}
    
    if (divisibleValue.length === 0){
        return divisibleValue.push(arr[-1])
    }
    divisibleValue.sort((a,b) =>a-b)
    return divisibleValue;}

1. 배열에 -1을 넣으라 그래서 push를 이용했는데 잘못된 방법이었다. push는 배열에 값을 추가하고, 배열의 새로운 길이(숫자)를 반환하기 때문에 [-1]과 같이 배열 자체를 반환하는 편이 낫다고 한다. 

정답 코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let divisibleValue = []
   for(let i = 0; i<arr.length; i++){ 
    if (arr[i]%divisor === 0){
        divisibleValue.push(arr[i])
    }}

    if (divisibleValue.length === 0){
        return [-1]
    }
    divisibleValue.sort((a,b) =>a-b)
    return divisibleValue;}

 

이제 올바르게 작동한다. 

 

다른 사람의 코드

더보기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arr.filter(v => v%divisor == 0);
    return answer.length == 0 ? [-1] : answer.sort((a,b) => a-b);
}

filter를 쓰면 되는구나! 좀 더 다양한 메서드를 사용하려고 노력해 봐야겠다. 

삼항연산자도 써 보려고 해 봐야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