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팀 과제(가취뽀) 중 Vintz 튜터님에게 가서 진행상황 보고를 했다. 이력서 페이지에 포인트를 걸고, 그 포인트만큼 차감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해서 zustand를 설정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튜터님이 zustand를 꼭 써야 하냐는 질문을 하셨다.

그러게. 왜 써야 한다고 생각했지?
일단 나의 이유는
- point state를 여러 곳에 써야 하니까(이력서 페이지, 포인트 상점 페이지 두 곳이지만)
- Next.js는 App router 라서 props를 어떻게 전달해야 할 지 모르겠음
이 두 가지였는데, 병연님은 serverside에서 그냥 point를 가져오면 되지 않나? 라고 하셨다. 듣고 보니 그것도 그런 것 같은게 두 페이지만이라 굳이 zustand를 써야 하나 싶긴 했다.
그렇지만 이야기를 하다 보니 확장성 문제도 있고, 포인트가 매 페이지에서 바뀌는 게 아니라 항상 동일하니까 zustand를 쓰는 게 낫다고 결론이 났다.
zustand를 쓰는 것에 크게 의문을 가지지는 않았는데 이번 토론을 통해 확실한 기준을 가지고 도구들을 써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음.
'프론트엔드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브랜치와 디버깅 브랜치 따로 만들기 (0) | 2025.04.07 |
---|---|
Figma 디자인을 Tailwind css 코드로 변환하는 법 (0) | 2024.10.28 |
Next.js에서의 서버 사이드 캐싱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캐싱 (0) | 2024.09.30 |
Hydration에 대하여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