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defined와 nullundefined와 null의 차이undefined 는 JS에서 데이터가 없을때 내보내고 null 은 개발자가 값이 없음을 명시하기 위해서 사용null만 쓰셈내가 할당한 undefined와 자바스크립트가 자동으로 할당해준 undefined의 차이내가 할당한 undefined : ‘undefined’ 라는 값(null과 비슷)자바스크립트가 할당한 undefined : 없다 라는 뜻의 undefinedempty와 undefined의 차이콜백함수에서 다뤄지는 유무 empty → X, undefined → O어떤 변수의 값이 null인지를 판별하게 위한 방법일치연산자(===)typeof null 은 object실행 컨텍스트스택과 큐의 차이점스택은 들어온 순서와 나가는 순서가 반대, 큐..
기본형과 참조형기본형과 참조형의 구분 기준은 무엇인가요?불변성과 가변성불변성은 메모리 안의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음가변성은 메모리 안의 데이터가 변경 됨https://velog.io/@darong_/기본형-데이터와-참조형-데이터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와 식별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변수 =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담는 그릇식별자 = 변수를 구분할 수 있는 이름 (변수명)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를 할당하는 원리? 방식?변수를 선언하고 메모리에 해당 변수와 값을 할당하여 저장한다.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변수와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여 변수의 값은 데이터를 참조한다.변수가 메모리에 할당되는 과정과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 js 관점에서변수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코드를 작성할 때 불변성이 중..
"use client";import { useSession } from "@/hooks/useUserProfile";import supabase from "../../../utils/supabase/client";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import { Database, Tables } from "../../../../database.types";const ApplyStudyList = () => { const [studyApplyList, setStudyApplyList] = useState([]); //유저 정보 가져오기 const { data: user } = useSession(); console.log(user); useEffect(..

기획 주제를 세우는 데 정말 오래 걸렸다. 스터디 아이디어와 튜터님들까지 합세하여 불같은 토론을 한 결과 스터디 종합 서비스로 정해졌다.최소 기능을 정하고 페이지를 분리하고 역할을 나눴다. 그런데 스터디 그룹 페이지가 정확히 어떤 느낌인지를 모르겠다는 의견이 나와서 디자인 제외하고 기능만 보기 위한 와이어프레임을 간단하게 만들었다. 자진해서 맡는 리더는 처음이라 팀원들을 챙긴다고 챙겼는데 잘 챙겼는지는 모르겠다. 그치만 팀 분위기가 좋고 팀원들이 편하게 떠드니까 잘 챙긴 것 같다. 토론을 통해서는 만장일치가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해 투표를 하려고 했는데, 튜터님이 토론을 통해 모두가 설득되어야 한다고 해서 기획 아이디어를 정하는 데 정말 오래 걸렸다. 오래 걸렸지만 모두가 필요성을 느껴서 하는 아이디어가..

이번 Next 주특기 주차를 맞아 개인 과제가 발제되었다. 저번 mbti 개인 과제를 진행하면서 가장 힘든 것이 하기 싫은 나를 내가 붙들고 책상에 앉혀야 했던 것이었기 때문에, Onegreat튜터님에게 부탁해 보기로 했다. 1. 진행 방법- Onegreat 튜터님 방에 찾아가서 1시간동안 보고하겠노라고 말씀드린다. 1시간 후 계획한 걸 다 했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 배운 걸 정리하기 위해 배운 내용을 요약해서 브리핑하고 다음 1시간 동안 무엇을 할 건지 말씀드린다. 이걸 반복.2. 성과-주특기 발제(3시쯤) 스타트해서 8시까지 밥먹는 시간 빼고 한번도 안 쉬었다. 4-50분 집중하고 남은 시간 쉬고를 반복했다. 효과는 엄청 좋다. 3. 문제점-**(중요)**체력의 한계 때문인지 저녁 먹고 나니 집..
이춘구 님의 [번역] 여러분이 React Query를 원하는(x) 필요로 하는 이유 를 읽고 짧게 감상을 서술한다. 이번에 팀 과제에서 북마크 기능을 TanstackQuery로 구현한 것을 인연으로 Vintz 튜터님께서 이 글을 읽어보라고 공유해 주셨다. 나는 사실 스파르타에서 제공하는 자료 외에는 개발 칼럼이나 블로그 글도 필요하지 않으면 잘 읽어보지 않는 편인데, 이 블로그 글을 읽고 개발을 더 깊이 공부하는 것에 대해 필요성을 조금 느껴서 블로그에 기록한다. 흥미로운 점0. ( 사실 ReactQuery가 TanstackQuery를 뜻하는 건지 몰라서 한참 찾아봤다.) 1. 내가 겪지 않았던 오류를 불편한 상황의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 되게 도움이 된다. : 블로그 글에서는 간단한 코드를 제시하고,..

개인 과제가 발제한 지 며칠이 지났다. 그렇지만 과제 진척도는 계획한 것의 반의 반의 반도 안 되는 중이다. 시간이 많을 땐 과제 해야 하는데 해야 하는데 하면서 놀고, 시간이 촉박할 때 와다닥 밤을 새버리며 무리해버리는 루틴은 저번 개인과제 때도 그랬다. 따라서 이번 TIL에서는 나름대로 미루는 습관에 대한 트러블 슈팅을 하려고 한다. 1. 문제 발생 과제를 계획한 시간 안에 계획한 진도를 못 나가고 있다. 시간이 많은 오후 시간대에 과제를 하기보다 휴대폰을 하거나 자버린다. 또한 과제를 하다 막히면 바로 휴대폰을 찾거나 먹을 것을 찾는 등 회피적 모습을 보인다.2. 원인 추론가설 1. 과제를 하다 막혀서 집중해서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그런 건 아닌지?가설 2. 그냥 위기감이 없어서 ..

우리 팀은 inside out을 주제로 감정에 따른 영화 추천 페이지를 만들기로 했다. 좋았던 점 - 혼자 공부하면서 골머리 썩히는 것 보다 팀원들하고 농담따먹기도 하면서 같이 무언가 해 나간다는 점이 난 더 마음이 편했다. 사람 좋아하는 타입이지만 외향인은 아닌데. 팀원들이 다 차분해서 나랑 잘 맞는 것 같다. - 모두가 각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해서 좋았다. ~이런거 하면 어떨까요. 하고 주제를 내놓으면 팀원들이 거기에 살을 붙여 그럼 이것도 이것도 하면 어떨까요. 라고 말해줘서 회의가 길었지만 원활히 진행된 것 같다. - 계획을 구체적으로 짠 점이 대견하다. 발제할 때 팀장님들이 구체적인 계획은 챙겨 주셔야 한다고 하셔서 기억해놨었는데 다행히 회의할 때 기억이 났다. 계획을 짜면서 팀원들 중..